Jehyun Shin

제현은 한국 사회에서 경험한 개인적인 사건과 아이러니한 지점들을 장기간의 리서치를 통해 다양한 영상, 출판, 설치, 사진 등 다양한 미디어로 풀어내고 있다. 2010년 ‘아트스페이스 휴’ 에서의 개인전 <Play mob>를 시작으로 ‘인사미술공간’, ‘서교실험센터’, ‘서울시립미술관’과 같은 30여개의 크고 작은 비영리공간에서 전시를 했으며 워크숍을 통해 옷 만들기를 통해 여성주의 정치 사회적 문제를 다루거나 지역특정적인 악기를 만드는 등 5~10년간의 장기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최근 물리학자, 현대무용 안무가, 실험 음악가 등과 함께 다원 예술 퍼포먼스에 집중하고 있다. 2014년 ‘아트스타 코리아‘ 우승자로 잘 알려진 신제현은 프랑스 파리 시떼 레지던스를 비롯하여, 장흥아뜰리에 레지던스, 금천예술공장 레지던스 등 다양한 레지던스에 선정되었으며, 서울예술재단 포트폴리오 리뷰 우수상 및 메세나 설화수 지원, 전시지원, 청년예술단 선정 등 다양한 수상과 지원 경험으로 현대미술을 대표하는 젊은 작가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2014 CJ E&M 아트스타코리아 우승작가
Biography
Solo Exhibition
2019, ‘Finding MARI’ (갤러리 메이-부산), ‘Textscape’ (CR-Collective-서울)
2017, ‘디오티마 디오라마’ (카이스트 갤러리-서울)
2015, ‘English order’ (테이크아웃 드로잉-서울)
2011, ‘Arin Project’ (아르코 인사미술공간-서울) / ‘3PM’ (문신미술관-서울) 등
Group Exhibition
2019, ‘다음 전시 준비중’ (갤러리 플레닛-서울)
2018, ‘몸 소’ (우란예술재단-서울) / ‘베틀x배틀’ (토탈미술관-서울) /
‘악의 사전’ (강릉국제비엔날레-강릉) / ‘How many steps’ (PS333-서울)
2017, ‘예술적 생존법 연구’ (대안공간 루프-서울) / 2017, ‘뮤지엄버스킹’ (소마미술관-서울) /
‘ATM’ (탈영역 우정국-서울)
2016, ‘동백꽃 밀푀유’ (아르코미술관-서울) / ‘예기치 않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
‘New Generation, New Wave’ (서울예술재단-서울) /
‘Staring at you Staring at me.’ (아마도예술공간-서울) /
‘Staring at you Staring at me .’ (키아즈마, 이그렉- 프랑스 파리)
2015, ‘동송세월’ (아트선재센터-철원, 서울) / ‘예술적 생존법 연구’ (T,G,I-프랑스 아비뇽)
2014, ‘Super Romantics’ (대구예술발전소-대구) / ‘은밀하게 위대하게’ (서울 시립미술관-서울)
2010, ‘확장된 의미의 복합 미디어’ (강릉 미술관-강릉) 등
Residency & Award
2019 서울문화재단 전시 지원(서울)
2019 청년예술단 선정(서울)
2019 서울문화재단 메세나 설화수 지원(서울)
2017 금천예술공장 레지던스(서울)
2016 서울예술재단 포트폴리오 리뷰 우수상(서울)
2014 장흥아뜰리에 레지던스(장흥)
2014 프랑스 파리 시떼 레지던스(프랑스)
2011 군산 레지던스 여인숙(군산),
아르코 신진작가 워크샵,
한국 문화예술 위원회(ARKO)작가 지원 등